근대 프랑스가 낳은 가장 위대한 수도자였던 사를르 드 푸코(Charles de Foucauld)는 1858년 프랑스의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프랑스는 카톨릭 국가였기에 그 역시 태어나면서부터 기독교 신자였습니다. 불행하게도 어린 나이에 양친을 여의면서 그는 신앙의 길을 떠나게 됩니다.
샤를르 드 푸코
그리고 육군사관학교에 진학, 장교가 되어 북아프리카에서 일어난 반란군 진압에 참여하여, 상관의 명령에 따라 반란군의 심장을 겨누어 총을 쏘면서 그는 인생에 대하여 큰 회의를 갖게 됩니다. 그 후 군대를 스스로 떠나 학자로써 모로코를 탐험하던 중, 그 곳의 이슬람 교도들이 깊은 신앙 속에서 신앙을 따라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게 됩니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그는 하나님을 향해 시선을 돌리고 다시 기독교로 귀의합니다.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의 수도원 생활을 거쳐 그의 나이 43세가 되던 1901년 신부 서품을 받은 후, 당시 세상에서 가장 버림받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여겨지던 아프리카 사하라의 베니아베스로 들어가, 1916년 12월 한 토착민이 쏜 총에 맞아 숨질 때까지 15년 동안 그곳에서 그곳 원주민들과 더불어 살면서 그들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어느 날 푸코는 나무를 보면서 깊은 깨달음을 얻습니다. 나무는 떨어지는 자신의 잎이나 부서져 나가는 가지에 대해 아무런 염려를 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떨어지지 못하도록 기를 쓰거나 떨어지는 것을 잡으려고 전혀 안달하지도 않았습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그저 의연할 뿐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전능하신 창조주 하나님을 믿는다는 자들이 떨어져 나가는 재물이나 건강이나 생명 때문에 염려하고 절망한다는 것은, 스스로를 하찮은 나무보다도 더 못한 존재로 전락시키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그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 근심하거나 탄식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 뒤 이런 말을 했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자에게 가장 어려운 것은 ' 여러분은 무엇이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십니까? 푸코의 답변은 이러합니다. '하나님을 믿는 자에게 가장 어려운 것은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그리고 또 이렇게 말했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자에게 가장 부족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을 향한 신앙이다' 우리는 얼마나 쉽게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합니까?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얼마나 자랑스럽게 이야기합니까? 그러나 정말 우리는 하나님을 믿고 있습니까? 진정 우리는 하나님을 향해 부족함 없는 신앙을 갖고 있습니까?
진짜 향나무와 가짜 향나무의 차이가 언제 드러납니까? 도끼에 찍히는 순간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향나무는 찍힐수록 향기를 더욱 진동하지만, 가짜는 찍을수록 도끼의 날만 상하게 할뿐입니다. 겉모습은 똑같아 보일 수 있지만 찍히우므로 비로소 진위가 판가름 나는 것입니다. 생화와 조화의 차이는 어디에 있습니까? 진짜 꽃의 잎은 떨어지지만 인조 꽃잎은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떨어지지 않습니다. 진짜 꽃은 벌이나 나비에게 기꺼이 자신의 꿀을 빼앗겨 주고 나누어주지만, 모조 꽃은 떨어지거나 빼앗길 것을 아예 소유하고 있지를 않습니다. 요즈음 조화를 얼마나 잘 만듭니까? 구별이 어려울 정도입니다. 그러나 떨어짐과 빼앗김의 유무에 따라 생화와 조화 여부가 드러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정말 하나님을 믿는 자인가 아닌가는 평소에는 판가름 나지 않습니다. 오직 결정적인 때에 드러나는 법입니다. 내 건강이, 내 재물이, 내 생각이, 내 뜻이 찍히고 떨어지고 빼앗기고 부서지고 깨어져 나갈 때, 바로 그 순간에서 마저 우리가 하나님을 전폭적으로 신뢰한다면 우리는 정말 하나님을 믿는 자들입니다. 우리의 신앙은 바로 그 결정적일 때를 위해 결정적으로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가장 결정적일 때, 가장 중요한 순간에, 가장 믿음이 필요할 때에 비신앙적인 길을 걷는다면 우리는 아직까지 참된 신앙인 일수가 없는 것입니다.
사를르 드 푸코는 크리스천들이 이처럼 결정적일 때 오히려 비신앙적으로 처신하는 이유를 두 가지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결정적인 순간에 하나님을 보기보다는 자기 자신을 보기 때문이요,
둘째는 하나님보다는 내 눈앞에 펼쳐진 상황을 더 크게 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참으로 적절한 지적입니다. 결정적인 순간에 나를 들여다 본들 탄식밖에 더 나오겠습니까? 눈 앞에 펼쳐진 상황을 극대화하여, 내가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자요, 가장 불행한 자요, 그 누구보다 비참한 자요, 내가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자란 피해망상에 젖는다면 절망 외에 무엇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만약 샤를르 드 푸코가 결정적인 순간에 하나님보다 자기 자신을 더 의뢰하고, 하나님보다 자기 상황을 더 크게 여기는 자였다면, 어찌 그 절망적인 사하라 속에서 금세기를 밝히는 진리의 불꽃, 인류의 양심이 될 수 있었겠습니까? 우리가 매일 매일 하나님께 우리의 시선을 고정시키면서, 모든 면에 걸쳐 진정으로 하나님을 신뢰하는 삶을 스스로 훈련하지 않는 한, 이 시대를 밝히는 등불이 되기는커녕, 가장 결정적인 순간에 정말 추한 인간으로 전락해 버리고 만다는 것입니다.
-이재철 목사 설교 중에서
'믿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어가는 병사가 교회학교 선생님께 쓴 편지 (0) | 2020.06.04 |
---|---|
풍차에 새겨진 글귀 '하나님은 사랑' (0) | 2020.05.16 |
하나님까지 잃어버리면 어떻게 살겠니? (0) | 2020.01.04 |
[믿음 예화] 당신이 뭔데 하나님을 무시합니까? (0) | 2019.12.07 |
나는 꾸러미를 들고, 아빠는 나를 안으면 되죠 (0) | 2019.11.17 |